요한 (작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작센)은 1801년 드레스덴에서 태어나 1873년 필니츠에서 사망한 작센 왕국의 국왕이다. 그는 시와 음악을 좋아하고, 단테의 '신곡'을 독일어로 번역하는 등 문학에도 조예가 깊었다. 1854년 형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투스 2세의 사망으로 작센의 왕위에 올랐으며, 재상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폰 보이스트의 영향으로 오스트리아 제국과의 연합을 추구했다.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패배한 후 북독일 연방에 가입했으며, 1871년 독일 통일 당시 독일 제국에 충성을 맹세했다. 그의 장남 알베르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작센 국왕 - 카롤루스 3세 크라수스
카롤루스 3세 크라수스는 카롤링거 왕조 출신으로 프랑크 황제, 동프랑크와 서프랑크의 왕을 겸하며 샤를마뉴 제국을 일시적으로 재통일했으나, 무능함과 질병, 바이킹 침략 방어 실패로 폐위되어 제국 분열을 초래했다. - 작센 국왕 -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3세 (작센)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3세는 1904년부터 1918년까지 작센 왕국의 마지막 국왕이었으며, 군 경력을 거쳐 원수까지 올랐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퇴위 후 사망했다. - 베틴가 - 아우구스트 3세
아우구스트 3세는 폴란드 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 작센 선제후였으며,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으로 왕위에 올라 예술과 건축을 후원했지만, 폴란드 문제에는 소극적이었고 통치 기간을 하인리히 폰 브륄에게 위임했다. - 베틴가 - 아우구스트 2세
아우구스트 2세는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로서 1697년부터 1706년, 1709년부터 1733년까지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를 지냈으며, 폴란드 왕위를 위해 가톨릭으로 개종, 대북방 전쟁에 참여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러시아 영향력 아래 두었고 드레스덴을 문화 중심지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 1801년 출생 - 윌리엄 H. 수어드
윌리엄 H. 수어드는 뉴욕 주지사, 연방 상원의원, 국무장관을 역임하며 노예제 폐지를 주장하고 알래스카 매입에 기여한 미국의 정치인이다. - 1801년 출생 - 존 헨리 뉴먼
존 헨리 뉴먼은 19세기에 활동하며 옥스퍼드 운동을 이끌고 가톨릭교회로 개종하여 추기경이 되었으며, 종교, 교육, 철학 분야에 기여하고 1991년 존경받는 인물로, 2019년 시성되었다.
요한 (작센)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요한 네포무크 마리아 요제프 안톤 크사버 빈첸츠 알로이스 프란츠 데 파울라 스타니스라우스 베른하르트 파울 펠릭스 다마수스 |
출생일 | 1801년 12월 12일 |
출생지 | 드레스덴, 작센 선제후국, 신성 로마 제국 |
사망일 | 1873년 10월 29일 |
사망지 | 필니츠, 드레스덴, 작센 왕국, 독일 제국 |
매장지 | 카톨리셰 호프키르헤 |
종교 | 로마 가톨릭교 |
![]() | |
통치 | |
즉위 | 1854년 8월 9일 |
퇴위 | 1873년 10월 29일 |
이전 통치자 |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 |
다음 통치자 | 알베르트 |
왕위 계승 | 작센 국왕 |
가문 | |
왕가 | 베틴 가문 |
아버지 | 막시밀리안, 작센 왕세자 |
어머니 | 카롤리나 디 파르마 공주 |
배우자 및 자녀 | |
배우자 | 아말리에 아우구스테 폰 바이에른 (1822년 11월 결혼) |
자녀 | 알베르트 엘리자베트, 제노바 공작 부인 게오르크 안나, 토스카나 대공녀 마르가레타, 오스트리아 대공비 조피, 바이에른 공작 부인 |
2. 생애
1801년 12월 12일 드레스덴에서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의 다섯째 아들 막시밀리안과 그의 첫 번째 아내였던 파르마 공작 페르디난도의 딸 카롤리나의 여섯째 아이로 태어났다.
요한은 시와 음악을 좋아했으며, 특히 어머니가 이탈리아의 파르마 공가 출신이었던 탓에 이탈리아 문학에 심취했다. 1821년에는 형 클레멘스와 함께 이탈리아로 여행했다.(덧붙여 동행했던 클레멘스는 다음 해인 1822년 피사에서 객사했다). 또한 스스로 '''필라레테스'''(''Philalethesde'')라는 필명으로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을 독일어로 번역했다.
1822년 11월 21일 요한은 바이에른 왕 막시밀리안 1세의 공주 아말리에 아우구스테 (1801년 - 1877년)와 드레스덴에서 결혼했다.
1830년 맏형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는 국왕이었던 백부 안톤에 의해 섭정으로 임명되었고, 1836년 안톤이 사망하자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로 왕위에 올랐다.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에게도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요한은 왕태제가 되었고, 1854년 그가 사고로 죽자 왕위를 계승했다.
작센 왕국은 수상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폰 보이스트의 영향 아래 대독일주의를 채택하여 오스트리아 제국과 가까워졌다. 그러나 오스트리아 측이 참전한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1866년)에서 프로이센 왕국에 패배하자 작센도 북독일 연방에 가입했고, 1871년 독일 통일 당시 독일황제빌헬름 1세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요한은 1873년 10월 29일 필니츠에서 사망했으며, 왕위는 장남 알베르트가 계승했다.
2. 1. 초기 생애
요한은 1801년 12월 12일 드레스덴에서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의 다섯째 아들 막시밀리안과 그의 첫 번째 아내였던 파르마 공작 페르디난도의 딸 카롤리나의 여섯째 아이로 태어났다. 요한은 평생 동안 작센 왕위를 물려받을 가능성이 거의 없었다. 그에게는 아버지와 두 형인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투스와 클레멘트가 먼저 있었다. 그러나 1822년 클레멘트가 이탈리아에서 미혼으로 사망하면서 요한은 이제 형인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투스만이 왕위 계승 서열에서 앞서게 되었다.그의 삼촌 안톤이 형을 이어 왕위에 오르자(1827년) 요한은 왕위 계승 서열 3위가 되었고, 아버지 막시밀리안이 1830년에 왕위 계승권을 포기한 후 요한은 2위가 되었다. 요한의 형은 1836년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투스 2세가 되었고, 이제 그는 왕위 계승 서열 1위가 되었다. 두 번 결혼한 국왕은 자녀가 없었다. 요한은 형의 재위 기간 동안 추정 상속자로 남아 있었다.
요한은 시와 음악을 좋아했으며, 특히 어머니가 이탈리아의 파르마 공가 출신이었던 탓에 이탈리아 문학에 심취했다. 1821년에는 형 클레멘스와 함께 이탈리아로 여행했다.(덧붙여 동행했던 클레멘스는 다음 해인 1822년 피사에서 객사했다). 또한 스스로 '''필라레테스'''(''Philalethesde'')라는 필명으로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을 독일어로 번역했다.
2. 2. 학문 및 예술 활동
요한은 시와 음악을 좋아했으며, 특히 어머니가 이탈리아의 파르마 공가 출신이었던 탓에 이탈리아 문학에 심취했다. 1821년에는 형 클레멘스와 함께 이탈리아로 여행했다. 스스로 '''필라레테스'''(''Philalethesde'')라는 필명으로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을 독일어로 번역했다.2. 3. 결혼과 가족

요한은 1822년 11월 10일 뮌헨에서 (대리 결혼), 1822년 11월 21일 드레스덴에서 (직접) 바이에른 왕국의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 왕의 딸인 바이에른 공주 아말리에와 결혼했다.
요한과 아말리에 아우구스테는 3남 6녀를 두었다.
- '''마리아''' (1827년 - 1857년)는 미혼으로 사망했다.
- '''알베르트''' (1828년 - 1902년)는 작센 왕이 되었다.
- '''엘리자베트''' (1830년 - 1912년)는 제노바 공작 페르디난도와 결혼했다.
- '''에른스트''' (1831년 - 1847년)는 미혼으로 자녀 없이 사망했다.
- '''게오르크''' (1832년 - 1904년)는 작센 왕이 되었다.
- '''지도니아''' (1834년 - 1862년)는 미혼으로 사망했다.
- '''안나''' (1836년 - 1859년)는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4세와 결혼했다.
- '''마르가레테''' (1840년 - 1858년)는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루드비히와 결혼했다.
- '''조피''' (1845년 - 1867년)는 바이에른 공 카를 테오도어와 결혼했다.
요한의 자녀들은 유럽 각국의 왕가와 혼인 관계를 맺었다.
2. 4. 작센 국왕 즉위
1854년 8월 9일 형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투스 2세가 사망하자 요한은 작센 국왕으로 즉위했다. 1830년 맏형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가 국왕이었던 백부 안톤에 의해 섭정으로 임명되었고, 1836년 안톤이 사망하자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로 왕위에 올랐다.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에게도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요한은 왕태제가 되었고, 1854년 그가 사고로 죽자 왕위를 계승했다.1855년 사법 조직, 철도망 확충, 상업 자유 도입 등은 주로 그의 제안과 추진에 기인한다. 그의 통치 하에 프랑스 통상 조약(1862)이 수용되었고 이탈리아와의 계약이 승인되었다. 요한은 재상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폰 보이스트의 영향으로 제국 체제의 대독일 해법(오스트리아 포함)을 위해 노력했다.
2. 5. 통치 기간
요한은 1854년 8월 9일 형인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투스 2세의 사망 이후 작센의 왕이 되었다. 1855년 사법 조직, 철도망 확충, 상업 자유 도입 등은 주로 그의 제안과 추진에 기인한다. 그의 통치 하에 프랑스 통상 조약(1862)이 수용되었고 이탈리아와의 계약이 승인되었다. 그는 재상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폰 보이스트의 영향으로 제국 체제의 대독일 해법(오스트리아 포함)을 위해 노력했다. 1866년 작센은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 편에서 싸웠다. 결국 쾨니히그레츠 전투에서 패배한 후 작센은 북독일 연방에 가입했으며, 1871년에는 프로이센 왕국의 주도하에 독일 제국에 합류했다. 요한은 2년 후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 6.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과 독일 통일
요한은 재상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폰 보이스트의 영향으로 대독일주의를 채택하여 오스트리아 제국과 가까워졌다.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작센은 오스트리아 편에서 싸웠으나,쾨니히그레츠 전투에서 패배한 후 북독일 연방에 가입했다. 1871년에는 프로이센 왕국의 주도하에 독일 제국에 합류했다.2. 7. 사망
요한은 1873년 10월 29일 필니츠에서 사망했으며, 왕위는 장남 알베르트가 계승했다.3. 자녀
요한은 1822년 11월 10일 뮌헨에서 (대리 결혼), 1822년 11월 21일 드레스덴에서 (직접) 바이에른 왕국의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 왕의 딸인 바이에른 공주 아말리아와 결혼했다. 그들은 아홉 명의 자녀를 두었다.
- '''마리''' 아우구스테 프리데리케 (1827년 - 1857년): 미혼으로 사망.
- '''알베르트''' (1828년 - 1902년): 작센 왕.
- '''엘리자베트''' 막시밀리아나 (1830년 - 1912년): 제노바 공작페르디난도와 결혼, 니콜로, 마르케세 라팔로와 재혼.
- '''에른스트''' 페르디난트 빌헬름 (1831년 - 1847년): 미혼으로 자녀 없이 사망.
- '''게오르크''' (1832년 - 1904년): 작센 왕.
- '''지도니아''' 루도비카 마틸데 (1834년 - 1862년): 미혼으로 사망.
- '''안나''' 마리아 막시밀리아네 (1836년 - 1859년): 토스카나대공페르디난도 4세와 결혼.
- '''마르가레테''' 카롤리네 프리데리케 (1840년 - 1858년): 오스트리아 대공카를 루드비히와 결혼.
- '''조피''' 마리아 프리데리케 (1845년 - 1867년): 바이에른 공카를 테오도어와 결혼.
4. 훈장
요한은 작센 왕국 및 다른 국가들로부터 다양한 훈장을 받았다. 작센 왕국에서 1807년 루 크라운 기사[1], 1815년 작센 민간 공로 훈장의 대십자장[1], 알베르트 훈장의 대십자장[2]을 받았다. 1822년에는 바이에른의 성 후베르투스 기사[3], 1825년 3월 18일에는 스페인의 금양모 기사[4] 훈장을 받았다.
에르네스틴 공국으로부터는 1838년 2월 작센에르네스틴 왕가 훈장의 대십자장[5]을, 러시아 제국으로부터는 1840년 4월 5일 성 안드레 기사 훈장을 받았다. 프로이센 왕국에서는 1840년 9월 3일 흑수리 기사[6], 1869년 1월 21일 푸르 르 메리트 (시민)[7] 훈장을 받았다.
1841년 오스트리아 제국으로부터 성 스테판 대십자 훈장[8]을, 1850년 3월 12일 사르데냐 왕국으로부터 수태 고지 기사[9] 훈장을 받았다. 아스카니아 공국에서는 1853년 4월 28일 알베르트 곰 대십자 훈장[10]을, 벨기에에서는 1853년 5월 25일 레오폴드 훈장의 특급 무공[11]을 받았다.
바덴에서는 1853년 피델리티 궁정 훈장 기사 및 체링거 사자 대십자 훈장[12]을, 1854년 8월 10일 헤센 대공국에서는 루드비히 훈장의 대십자장[13]을 받았다. 1854년 8월 31일 올덴부르크에서는 페터 프리드리히 루이 공작 훈장의 대십자장(황금 왕관 포함)[14]을, 1854년 뷔르템베르크 왕국에서는 뷔르템베르크 왕관 대십자장[15]을 받았다.
1860년 2월 나사우 공국의 나사우 금사자 기사[16], 1860년 하노버 왕국의 성 조지 기사[17] 및 로열 귈프 훈장의 대십자장을 받았다.[17]
참조
[1]
서적
Königlich sächsischer Hof-Civil-und Militär-Staat
https://books.google[...]
Weidmann
[2]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Freistaat Sachsen: 1854
Heinrich
[3]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Bayern: 1828
https://books.google[...]
Landesamt
[4]
간행물
Calendario manual y guía de forasteros en Madrid
1828
[5]
문서
Adreß-Handbuch des Herzogthums Sachsen-Coburg und Gotha
Meusel
[6]
문서
Liste der Ritter des Königlich Preußischen Hohen Ordens vom Schwarzen Adler
[7]
서적
Die Ritter des Ordens pour le mérite 1812–1913
https://gdz.sub.uni-[...]
Ernst Siegfried Mittler & Sohn
[8]
웹사이트
A Szent István Rend tagjai
http://tornai.com/re[...]
[9]
서적
Notizia storica del nobilissimo ordine supremo della santissima Annunziata. Sunto degli statuti, catalogo dei cavalieri
https://books.google[...]
Eredi Botta
1869
[10]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des Herzogtum Anhalt
[11]
서적
Almanach royal officiel, publié, exécution d'un arrête du roi
[12]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13]
문서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Hessen und bei Rhein
[14]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s Oldenburg: für ... 1869/70
https://books.google[...]
Schulze
[15]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Württemberg: 1866
https://books.google[...]
[16]
문서
Staats- und Adreß-Handbuch des Herzogthums Nassau
[17]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Hanno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